-
교육비가 많이 들어가는 요즘 자녀 교육비를 지원하기 위해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서울시에서 꿈나래통장이라는 교육비 지원사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꿈나래통장은 매월 일정 금액 저축 시 서울시에서 일정 금액을 지원하여 더 많은 자산을 저축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
꿈나래통장이란?
꿈나래통장은 저소득 가구의 자녀 교육비를 마련해 주고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녀의 성장을 지원하는 자산형성지원사업입니다
꿈나래통장은 3년 또는 5년 동안 매월 5만 원 ~ 12만 원의 금액을 저축할 수 있고 저축한 금액에서 동일한 금액이나 50%의 금액을 서울시 예산과 후원금으로 추가 적립하여 지원하는 사업입니다
꿈나래통장 지원 대상
꿈나래통장 지원 대상으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가구가 대상이며 소득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80% 이하여야 지원할 수 있고 3자녀 이상의 다자녀 가구라면 기준 중위소득 90% 이하까지 지원 가능합니다
꿈나래통장의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
- 서울시 거주하고 있는 저소득 가구
- 만 14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친권자
- 기준 중위소득 80% 이하인 가구 (3자녀 이상의 다자녀 가구는 90% 이하)
단, 주의해야 할 사항은 가정에 자녀가 여러 명 이어도 1명만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
[기준중위소득 표]
구분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80% 2,608,068 3,355,761 4,096,864 4,819,612 기준중위소득 90% 2,934,077 3,775,231 4,608,972 5,422,064 꿈내래통장 지원 금액
꿈나래통장의 지원 금액은 신청자가 선택한 금액을 매월 저축하면 저축한 금액의 동일한 금액 또는 50%의 금액을 지원하고 이자까지 더한 금액을 만기 시 지급받으실 수 있는 좋은 혜택의 통장이므로 신청 조건에 해당이 되신다면 꼭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
저축 금액은 5만 원 ~ 12만 원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5만 원, 7만 원, 10만 원, 12만 원 중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저축 금액 12만 원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는 3자녀 이상의 가구 이면서 주거와 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비수급자인 경우에만 가능합니다
[저축액과 지원금액]
구분 생계, 의료급여수급자 주거, 교육급여수급자 및 비수급자 비고 본인저축액(선택) 5만 원 7만 원 10만 원 5만 원 7만 원 10만 원 12만 원 매칭지원금은 서울시와 시민후원금으로 지원됩니다 매칭지원금 5만 원 7만 원 10만 원 2.5만 원 3.5만 원 5만 원 6만 원 총 적립금
(3년)360만 원 + 이자 504만 원 + 이자 720만 원 + 이자 270만 원 + 이자 378만 원 + 이자 540만 원 + 이자 648만 원 + 이자 매월 적립시 총 적립금
(5년)600만 원 + 이자 840만 원 + 이자 1200만 원 + 이자 450만 원 + 이자 630만 원 + 이자 900만 원 + 이자 1080만 원 + 이자 꿈나래 통장 중도해지되는 경우
- 신청자가 자발적으로 해지를 원하는 경우
- 연속 3회 이상 저축하지 않거나, 저축 기간이 3년인 경우 총 7회 이상, 5년인 경우에는 총 11회 이상 저축하지 않은 경우
- 제출 서류에 허위가 있거나 저축액에 대한 압류 또는 권리 침해가 발생한 경우
- 금융 교육에 무단 불참한 경우(연 1회 참석)
- 적립 기간 중 다른 시, 도로 이사하는 경우
꿈나래통장 신청 방법
꿈나래통장의 신청방법은 온라인 신청은 불가능하며 해당 주소지의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기간은 6월 12일 ~ 6월 23일까지이며 접수 시간은 09:00 ~ 18:00까지입니다
총 300명의 참여자가 지원대상으로 선정이 되며 서류 심사, 소득 및 재산확인, 신용 조회 등을 거쳐 신청 결과는 10월 13일에 결과가 나옵니다
신청결과 후 최종 선발된 신청자는 서울시와 약정을 체결한 후 11월부터 저축하여 교육비를 마련할 수 있으니 꼭 신청하셔서 혜택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조건,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2023.06.23 인문100년장학금 성적기준 및 지급액 총정리 (0) 2023.06.22 에너지 절약하고 돈까지 받는 탄소포인트제 가입 알아보기 (0) 2023.06.20 장애인연금 대상 및 금액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2023.06.19 디딤씨앗통장 해지 및 후원 신청 방법 알아보기 (0) 2023.06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