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경제가 발전함으로써 온실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기후위기 예방 및 대응을 위하여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에너지 절감률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부여하여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탄소포인트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에서 탄소포인트제 가입과 인센티브에 대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
탄소포인트제란?
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전기, 상수도, 도시가스의 사용을 절감하고 절감률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부여하여 절약한 만큼 현금으로 지급해 주는 전 국민 온실가스 감축 제도입니다
탄소포인트제는 에너지도 절약하고 현금 또는 포인트를 지급해 주는 일석이조의 제도입니다
탄소포인트제 가입방법
탄소포인트제 가입방법으로는 인터넷 신청과 방문신청 둘 다 가능하며 아래 가입 절차 안내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간편하게 가입이 가능합니다
- PC 가입방법 : https://youtu.be/nCLbg_zZ2ig
- 모바일 가입방법 : https://youtu.be/JlXN3TFNdGQ
- 방문신청 : 관할 시, 군, 구 담당 부서에 방문하여 참여 신청서 작성
단, 서울특별시 거주자는 에코마일리지 홈페지이(http://ecomileage.seoul.go.kr)를통하여 가입 가능합니다
탄소포인트제 지급액
지급액은 과거 1년에서 2년간 월평균 사용량과 현재 사용량을 비교하여 절감률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지급하게 됩니다
개인지급액과 상업시설 및 학교 지급액으로 나뉘며 아래 표에서 지급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
- 개인
감축률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5% 이상 ~ 10% 미만 5,000포인트 750포인트 3,000포인트 10% 이상 ~ 15% 미만 10,000포인트 1,500포인트 6,000포인트 15% 이상 15,000포인트 2,000포인트 8,000포인트 - 상업시설 및 학교
감축률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5% 이상 ~ 10% 미만 20,000포인트 3,000포인트 12,000포인트 10% 이상 ~ 15% 미만 40,000포인트 6,000포인트 24,000포인트 15% 이상 60,000포인트 8,000포인트 32,000포인트 탄소포인트제 지급은 상반기와 하반기로 두 번 지급이 되며 전기, 상수도, 도시가스를 최대로(15% 이상) 절감했을 경우 50,000포인트를 얻을 수 있고 1포인트당 2원으로 계산되며 최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년에 100,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
인센티브 종류
탄소포인트제 인센티브 종류는 현금, 상품권, 종량제 봉투, 지방세 납부, 기부, 교통카드, 상장, 공공시설이용 바우처 중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
단,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인센티브 제공 유형이 있으니 유형을 확인한 후 한 가지만 선택이 가능합니다탄소포인트제 가입 시 유의사항
가입 시 유의사항은 에너지 고객번호가 필요합니다 전기, 상수도, 도시가스를 관리비에 포함하여 납부 시에는 고객번호를 입력할 필요는 없지만 별도로 납부하는 경우에는 고지서 또는 모바일 청구서 상단에 고객번호 8자리를 입력 후 가입하셔야 합니다
구분 전기, 상수도, 도시가스 요금고지서 별도 납부 시 관리비에 포함 납부 시 전기 전기 요금 고지서 및 대표번호123에 전화 후 고객번호 10자리 확인 후 입력 고객번호 별도 입력 불필요 상수도 수도요금 고지서 및 지자체 담당부서(상수도과)에서 고객번호 확인 후 입력 도시가스 도시가스요금 고지서 및 지역별 도시가스 공급업체에서 고객번호 확인 후 입력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소포인트제 모두 가입하고 에너지 절약 동시에 현금 및 포인트 받아보시길 바랍니다
함께 보기 좋은 글
에너지바우처 잔액조회 및 신청 기간, 신청 방법 총정리
취약계층의 경우 여름철 냉방비와 겨울철 난방비는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취약계층을 위하여 시행하고 있는 사업이 에너지바우처이며 취약계층에게 최대 38만 원을 지
thesunwebsite.com
한전에너지캐쉬백 환급금 및 신청대상, 신청방법 알아보기
온실가스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는 요즘 에너지절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행한 사업이 바로 에너지캐시백이라는 사업인데 에너지절약 시 온실가스를 줄여줄 뿐
thesunwebsite.com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문100년장학금 성적기준 및 지급액 총정리 (0) 2023.06.22 꿈나래통장 신청 방법 지원 금액 알아보기 (0) 2023.06.21 장애인연금 대상 및 금액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2023.06.19 디딤씨앗통장 해지 및 후원 신청 방법 알아보기 (0) 2023.06.17 알뜰교통카드 체크카드 비교 및 사용법 알아보기 (0) 2023.06.16